문재인 대통령은 1일 “경기반등의 추세를 얼마 안 남은 연말까지 이어나간다면 내년 상반기부터 우리 경제는 코로나의 충격을 회복하고 정상궤도로 진입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전 10시 청와대 여민관에서 영상으로 제59회 국무회의를 주재하고 “각 부처는 이런 긍정적 흐름이 확실한 경기반등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힘을 모아주기 바란다”라며 이렇게 말했다.
문 대통령은 “오늘 발표될 지난 3분기 GDP 성장률 잠정치는 지난 10월 발표된 속보치 1.9%를 뛰어넘어 2.1%를 기록했다”라며 “우리경제가 예상보다 빠르게 회복하고 있고, 경기 반등의 힘도 강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방역 성과가 경제로 연결되고 정부의 적극적 재정 정책과 한국판 뉴딜 등 효과적 경제대응이 빠른 경제 회복, 강한 경기 반등을 이뤄내는 원동력이 되고 있다”라며 “한국이 올해 OECD 국가들 중에서 경제성장률 부동의 1위를 지키고 있는 힘이기도 하다”라고 설명했다.
주요기사
문 대통령은 “3분기부터 시작된 경기 반등의 흐름이 4분기에도 힘있게 이어지고 있다”라며 “경제심리부터 좋아졌다. 소비자심리지수, 기업 경기지수 모두 크게 개선돼 11월 경제심리지수는 코로나 이전 수준을 회복했다”고 말했다.이어 “경기반등의 주역인 수출의 증가세는 더욱 괄목할 만하다”라며 “지난 10월 코로나 이후 처음으로 일평균 수출 증가율이 플러스로 전환된 데 이어 11월에는 일평균과 월간 전체 증가율이 24개월 만에 모두 플러스를 기록했다. 세계경제침체와 국제교역 위축 속에서 일궈낸 기적같은 성과”라고 평가했다.
또한 “수출액과 함께 수출의 내용 면에서도 매우 긍정적이다. 반도체, 바이오·헬스 등 신성장 분야와 경쟁력이 강한 IT 제조 부분, K방역 제품과 비대면 유망 품목이 수출반등을 이끌고 있다”라며 “수출 회복이 일시적 현상에 그치지 않고 앞으로 더 지속적으로 이어질 것임을 보여주는 현상”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수출이 우리 경제를 성장시키는 견인차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갖기에 충분하다”고 격려했다.
문 대통령은 “주식시장도 우리 경제의 회복과 성장에 대한 강한 믿음을 보여주고 있다”라며 “현재의 실적과 미래가치가 반영된 주가지수는 사상 처음으로 코스피 2600선을 넘어 최고기록을 세웠고, 올해 저점 대비 상승률도 G20 국가 중 최고 수준으로, 전례없는 위기 속에서도 강한 회복력을 보여주고 있다”고 언급했다.
이어 “코스피 시가총액도 1800조원을 넘어 사상 최고액을 경신한 바 있다”라며 “우리 경제의 현재와 미래에 대한 국내외 투자자들의 평가가 어느 때보다 긍정적이란 것을 주가라는 객관적 지표로 확인하고 있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특히 문 대통령은 “의미 있는 것은 개인투자자들이 주식시장을 떠받치는 힘이 됐다는 점”이라며 “어려운 여건 속에서 외국인과 기관이 주식을 팔고 나갈 때 개인투자자들이 동학개미운동에 나서며 우리 증시를 지키는 역할을 톡톡히 했다”고 말했다.
이어 “공매도 금지와 기간연장, 증권거래세 조기인하, 주식양도소득세 부과기준 유지 등 증시 활성화와 개인투자자 보호를 위한 정부의 노력도 보탬이 되었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각종 경제지표들이 좋은 흐름을 보이며 우리 경제에 청신호가 켜지고 있는 시점에서 최근 코로나 재확산으로 경제와 민생이 다시 어려워지지 않을까 우려가 크다”라면서도 “하지만 우리는 비슷한 고비를 넘겨오며 이겨왔다”고 밝혔다.
이어 “앞으로도 이런 상황이 언제든지 반복될 수 있고 내년에도 상황이 빠르게 호전되리라는 보장이 없다”라며 “결국 방역과 경제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기 위해 총력을 다하는 길 외에는 다른 방법이 없습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한 달 밖에 남지 않은 2020년 모든 부처는 방역과 경제의 동반 성공이라는 목표를 향해 마지막까지 최선을 다해달라”고 주문했다.
아울러 문 대통령은 “빠른 경제회복, 강한 경제 반등을 위해서는 국회의 협조가 절실하다”라며 “내년 예산안 처리의 법정 시한이 하루 앞으로 다가왔다”고 강조했다.
이어 “위기를 기회로 만들고 더 큰 도약을 이루기 위한 예산”이라며 “정부의 예산안 제출 이후 달라진 여러 상황을 고려해 백신 물량 확보, 코로나 피해 맞춤형 지원, 2050 탄소중립을 위한 선제투자 등 추가적으로 필요한 예산에 대해서도 지혜와 의지를 모아주시기 바란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우리 경제에 힘이 되고 코로나로 힘겨운 국민들에게 위로와 희망을 드리는 2021년 예산이 되길 기대한다”고 했다.
(서울=뉴스1)
창닫기
기사를 추천 하셨습니다文대통령 “3분기 성장률 잠정치 2.1%…경제, 예상보다 빠르게 회복”베스트 추천 뉴스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한 경제 불확실성을 우려하면서 긴급대출 프로그램 연장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30일(현지시간) CNBC 등에 따르면 파월 의장은 1일 상원 은행위원회 청문회에 앞서 배포한 발언문을 통해 이처럼 밝혔다. 파월 의장은 3월 의회가 통과시킨 2조2000억달러 규모 코로나19 경기부양 패키지법(CARES Act)에 따른 긴급대출 프로그램 등과 관련해 보고한다.
파월 의장은 “백신에 대한 최근 뉴스는 중기적으로 매우 긍정적”이라면서도 “현재로서는 시기, 생산, 유통 및 여러 그룹에 걸친 효능 등에서 중대한 과제와 불확실성이 남아있다”고 말했다.
이어 “팬데믹(전 세계적인 유행병) 사태 내내 강조해왔듯이 경제 전망은 이례적으로 불확실하며(extraordinarily uncertain) 대체로 바이러스를 통제하려는 노력의 성공 여부에 달려있다”고 밝혔다.
주요기사
그는 “국내외 신규 코로나19 확진 사례의 증가세가 걱정스럽다. 향후 몇 달 동안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며 “사람들이 광범위한 범위의 활동에 다시 참여하는 게 안전하다고 확신할 때까지 완전한 경제 회복은 어려울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경제 회복을 위해 모든 수단을 동원해야 한다고 했다.
팬데믹이 본격화한 3월 연준이 도입한 주요 프로그램 중 상당수가 연말에 만료된다.
파월 의장은 “이러한 프로그램들은 핵심 신용시장에 대한 지원 역할을 한다”며 “우리는 이러한 대출 권한을 전례 없는 수준으로 사용했다”고 밝혔다.
파월 의장과 스티븐 므누신 재무장관은 일부 긴급대출 프로그램의 31일 만료를 앞두고 대립해왔다. 연준과 재무부가 공개적으로 의견 차이를 보이는 건 드문 일이다.
이달초 므누신 장관은 예정대로 대출 프로그램을 연말에 종료하고 미사용 기금 4550억달러를 반환하라고 연준에 요청했다. 주·지방 정부 지원 프로그램인 지방정부유동성기구(MLF)를 비롯해 메인스트리트대출프로그램(MSLP), 자산담보부증권대출기구(TABLF) 등이 종료 대상이다.
연준은 내년까지 연장해야 한다고 반박했다. 반면 므누신 장관은 이 자금을 다른 목적으로 사용하는 게 낫다는 입장이다.
파월 의장과 함께 청문회에 출석할 예정인 므누신 장관은 발언문을 통해 “최근 경제 자료를 근거로 볼 때, 나는 표적화된 재정 패키지(targeted fiscal package)가 가장 적절한 연방 정부의 대응이라고 지속적으로 믿고 있다”고 설명했다.
므누신 장관은 “의회가 초당적인 지지로 추가 (부양) 법안을 통과시키는 데 CARES법의 미사용 기금 4550억달러를 사용해줄 것을 강력하게 촉구한다”고 밝혔다.
[서울=뉴시스]
창닫기
기사를 추천 하셨습니다파월 “경제전망 불확실성, 이례적”…긴급대출 필요성 강조베스트 추천 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1일 오전 청와대 여민관에서 열린 영상 국무회의에서 회의시작을 알리는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사진=청와대사진기자단
문재인 대통령이 "경기반등의 추세를 얼마 안 남은 연말까지 이어나간다면 내년 상반기부터 우리 경제는 코로나의 충격을 회복하고 정상궤도로 진입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1일 청와대에서 주재한 국무회의 모두발언을 통해 최근 경제지표 회복을 언급하며 이같이 말했다.
앞서 한국은행은 이날 3분기 GDP 성장률 잠정치가 지난 10월 발표된 속보치보다 0,2%p 상향조정된 2.1%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를 두고 문 대통령은 "우리경제가 예상보다 빠르게 회복하고 있고, 경기 반등의 힘도 강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라는 평가를 내놨다.
이어 "방역 성과가 경제로 연결되고 정부의 적극적 재정 정책과 한국판 뉴딜 등 효과적 경제대응이 빠른 경제 회복, 강한 경기 반등을 이뤄내는 원동력이 되고 있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3분기부터 시작된 경기 반등의 흐름이 4분기에도 힘있게 이어지고 있다"고 했다. 소비심리, 기업경기지수, 수출증가세를 언급하며 "세계경제침체와 국제교역 위축 속에서 일궈낸 기적같은 성과"라고 전했다.
특히 주식에 대해선 "사상 처음으로 코스피 2600선을 넘어 최고 기록을 세웠고, 올해 저점 대비 상승률도 G20 국가 중 최고 수준으로, 전례 없는 위기 속에서도 강한 회복력을 보여주고 있다"며 "개인투자자들이 주식시장을 떠받치는 힘이 됐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외국인과 기관이 주식을 팔고 나갈 때 개인투자자들이 동학개미운동에 나서며 우리 증시를 지키는 역할을 톡톡히 했다"며 "증시 활성화와 개인투자자 보호를 위한 정부의 노력도 보탬이 됐다"고 말했다.
현금 유동성으로 부동산과 주식이 동시 상승하는 상황에서, ‘주식은 경제 활력, 부동산은 투기’라는 문 대통령의 인식이 다시 확인된 셈이다.
문 대통령은 "앞으로도 이런 상황이 언제든지 반복될 수 있고 내년에도 상황이 빠르게 호전되리라는 보장이 없다"며 "결국 방역과 경제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기 위해 총력을 다하는 길 외에는 다른 방법이 없다"고 각 부처들에 정책 노력을 당부했다.
또한 예산안 처리 법정 시한을 하루 앞두고 국회에도 "빠른 경제회복, 강한 경제 반등을 위해서는 국회의 협조가 절실하다"며 "우리 경제에 힘이 되고 코로나로 힘겨운 국민들에게 위로와 희망을 드리는 2021년 예산이 되길 기대한다"고 당부했다.
한편 국무회의에는 추미애 법무부장관도 참석했지만 최근의 검란(檢亂)에 대해선 언급하지 않았다.
북한이 최근 노동당 정치국 확대회의를 자주 열고 경제 문제를 집중 논의하고 있습니다. 한 달 앞으로 다가온 노동당 제8차 당대회에 앞서 ‘국가경제발전 5개년 전략’의 세부 내용을 다듬고 있는 것으로 전문가들이 분석했습니다. 삼중고로 경제난이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새로운 경제계획에 시장경제 요소를 얼마나 수용할 지 주목됩니다. 조은정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한이 노동당 정치국 확대회의를 열어 최근 경제운영 전반 실태를 비판하고 제8차 당대회 준비를 논의했습니다.
이번 회의에서는 특히 경제지도 기관의 경제운영실태 비판과 개선 대책이 집중적으로 다뤄졌습니다.
윌리엄 브라운 미 조지타운대 교수는 오는 1월에 예정된 제8차 당대회가 신.구 ‘국가경제발전 5개년 전략’을 연결하는 매우 중요한 행사라며, 북한 당국이 상당한 준비를 해야 할 것이라고 30일 VOA에 말했습니다.
특히 이번에 비판을 받은 경제지도 기관의 역할이 크다는 설명입니다.
[녹취: 브라운 교수] “I think they have a huge amount of work to do, figure out how to adjust the planning mechanism.”
브라운 교수는 북한 경제의 상당 부분이 여전히 계획 경제라며, 앞으로 5년간 경제 운영에 대한 “매우 정교하고 세밀한 계획”을 관료들이 세워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시장경제의 경우 수요와 공급으로 자연스럽게 결정될 일들도 소수의 몇 사람이 일일이 결정해야 하는 ‘복잡하고 어려운 과업’이라는 것입니다.
브래들리 뱁슨 전 세계은행 고문은 30일 VOA에 이러한 중요한 결정을 내려야 하는 북한의 전문관료들의 자질이 부족한 실정이라고 지적했습니다.
[녹취: 뱁슨 전 고문] “Reality is that their economic bureaucracy is not well trained in economic management of complex, increasingly complex economic behaviors or both state and non-state actors…”
국가와 민간의 갈수록 고도화되는 경제 활동을 운영하는 훈련이 부족하고, 외부 세계와 단절돼 있어 경제와 금융 부문에서 기술관료들의 교류가 없다는 것입니다.
뱁슨 전 고문은 북한이 추구하는 것은 ‘혼합 경제체제’라며, 민간 주도의 혁신과 성공을 국가 경제와 당의 포괄적인 정책에 체계적으로 통합하려 한다고 설명했습니다.
계획 경제 강화 Vs. 시장 자율화ㆍ주민 생활 향상
이처럼 전문가들은 북한이 새롭게 발표할 ‘국가경제발전 5개년 전략’에 시장경제 요소가 얼마나 반영될 지 주목하고 있습니다. 브라운 교수는 두 가지 가능성이 공존한다고 말했습니다.
지난 8월 김정은 위원장이 ‘국가경제발전 5개년 전략’이 실패했다고 인정한 것은 “큰 변화와 개혁을 단행할 것이라는 기대를 심어준다”며, 장마당과 공장들에 자율성을 확대하는 조치들이 도입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녹취: 브라운 교수] “The problem is there’s reasons to think they’re going to move to the other direction. Try to firm up the plan and knock down the markets. The markets are competing for the plan’s resources so he might try to go backwards. And one thing that gives him an ability to do that is the virus situation.”
브라운 교수는 그러나 북한이 “계획경제를 강화하고 시장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나갈 수도 있다”며, “특히 5개년 계획에 필요한 자원이 시장으로 빠져나갈 수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습니다.
게다가 코로나 바이러스 사태로 주민의 이동과 교역을 통제하는 상황도 경직적인 통제 정책을 강화시킬 수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미 해군분석센터(CNA)의 켄 고스 적성국 분석국장은 현재 김정은 위원장이 개혁 정책을 도입하기 매우 힘든 상황이라고 말했습니다.
[녹취: 고스 국장] “I think that’s ultimately where he would like to get. But given all of the constraints and the sanctions and the Covid and everything else, it makes all of that very, very difficult to pull off right now.”
고스 국장은 김정은 위원장이 궁극적으로는 집단경제와 공공배급제 등에서 탈피하고 경제 특구 등에 자본을 끌어와 경제 전반으로 확산시키고 싶어할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하지만 “제재와 코로나 등 제약들을 감안하면 그러한 개혁을 단행하기가 매우 어려운 실정”이라는 것입니다.
그러면서 “중국 방식의 혁신적인 개혁을 상상하기는 매우 어려운 상황”이라며 “지난 5개년 계획이 실패한 데 더해 다시 한번 실패할 계획을 내놓을 수는 없기 때문”이라고 말했습니다.
뱁슨 전 세계은행 고문은 “지난 20년간 북한에서 주목할 만한 ‘시장 경제’ 통합 없이도 이미 비공식적으로 민생경제가 역할을 해 왔다”며 “8차 당대회를 전후해서 ‘시장의 역할’에 대한 공식적인 언급이 있다면 전략적인 방향 전환을 의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잦은 노동당 회의... 당 중심 국가운영 강화
한편 김정은 위원장 집권 이후 총 31번의 정치국 회의 중 11번의 회의가 올해 열린 데 대해 전문가들은 김 위원장이 당 중심의 국가운영 방식을 추진하는데 따른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
올해 김 위원장이 직접 주재한 노동당 정책회의도 총 17번으로 예년의 6배 가까이 늘었습니다.
[녹취: 뱁슨 고문] “It reflects his efforts which he’s really been working on for a long time, to rebuild the institutions of a political governance system where the party organs like the Politburo, the Central Committee and even Party Congress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governance of the country.”
뱁슨 전 고문은 “김정은 위원장이 당 중심의 통치 구조를 복원하기 위해 오랫동안 노력을 기울여 왔다”며 “정치국회의, 중앙위원회, 당대회 등이 국가를 운영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도록 하려는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러한 회의를 통해 김 위원장 자신의 견해를 전하는 동시에 지도부 전반의 공감대를 형성하려는 노력이라고 분석했습니다.
고스 국장은 잦은 회의가 김 위원장이 권한 일부를 지도부에 이양하려는 움직임과 연관돼 있다고 말했습니다.
고스 국장은 김 위원장이 현장에서 대신 활동하는 지도부와 자주 접촉해 자신의 비전을 제시하고, 이해시키려는 노력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올해 3분기 경제 성장률이 2.1%로 상향 조정됐다. 지난 달에 나온 속보치 1.9%보다 0.2%포인트 높다. 설비투자를 중심으로 실적치 자료가 추가 반영된 결과다. 한국은행이 1일 발표한 ‘3분기 국민소득(잠정)’ 자료를 보면, 실질 국내총생산(GDP)은 2분기보다 2.1% 늘었다. 속보치 추계 때 이용하지 못한 9월의 일부 실적치 자료를 반영한 결과 설비투자 1.4%포인트, 건설투자가 0.5%포인트 높아졌다고 한은은 밝혔다. 민간소비도 0.1%포인트 높아져 성장률을 속보치보다 끌어올렸다. 3분기 성장률은 2009년 3분기 3.0% 이후 가장 높은 반등세다. 2분기 실적이 워낙 나빴던 데 따른 결과로 볼 수 있다. 올해 1분기, 2분기에는 각각 전기 대비 -1.3%, -3.2%를 기록한 바 있다.
자료: 한국은행
경제활동별로는 컴퓨터·전자 및 광학기기 등이 늘어 제조업이 7.9% 늘었다. 의료·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금융 및 보험업 등 서비스업은 0.9% 성장했다. 건설업은 비주거용 건물 및 토목 건설을 중심으로 5.2% 감소했다. 지출항목별로는 수출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자동차, 반도체를 중심으로 16.0% 늘었다. 수입은 원유, 화학제품 등에서 늘어 전체적으로 5.6% 증가했다. 설비투자는 운송장비와 기계류를 중심으로 8.1% 늘었다. 건설투자는 토목 건설을 중심으로 7.3% 줄었다. 민간소비는 음식·숙박 등 서비스 부문에서 줄었지만, 식료품 등 비내구재 분야에서 늘면서 전 분기 수준을 유지했다. 건강보험 급여비 등이 늘어 정부 소비는 0.2% 증가했다. 3분기 명목 국민총소득(GNI)은 전기보다 2.5% 늘었다. 국외 순수취 요소소득이 감소한 탓에 명목 지디피 성장률(2.8%)을 밑돌았다. 실질 국민총소득 증가율은 2.4%로, 실질 국내총생산 성장률 2.1%보다 높았다. 교역 조건이 개선된 덕이다. 명목 지디피와 실질 지디피의 격차로, 경제 전반의 종합적인 물가 수준을 보여주는 지디피 디플레이터는 작년 같은 기간보다 2.1% 높았다. 3분기 국민총처분가능소득(2.3%)이 최종소비지출(0.4%)보다 많이 늘면서 총저축률은 전기보다 1.2%포인트 높아진 35.7%를 기록했다. 국내총투자율은 30.8%로, 전기 대비 1.8%포인트 줄었다. 건설투자 등에서 줄었기 때문이다. 김영배 기자 kimyb@hani.co.kr
10월 전산업생산이 지난달과 같은 수준을 유지했다. 서비스업 생산은 늘었지만 소비와 투자가 부진했다. 30일 통계청이 발표한 ‘10월 산업활동 동향’을 보면, 지난달 전산업생산(계절조정·농림어업 제외)은 9월보다 0% 늘어난 보합을 나타냈다. 광공업 생산은 광업에서 7.4% 늘었으나 제조업이 1.3% 감소하면서 전체적으로 1.2% 줄었다. 반도체가 9월에 디램 등 메모리반도체 공급이 부쩍 증가한 데 비해 지난달 생산은 상대적으로 부진해 9.5% 감소했다. 안형준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코로나19 이후 반도체 수출은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는 가운데, 7월에 한번 반도체 수출이 감소했고, 8~9월 수출이 많이 늘어났다가 10월에 다시 감소했다”고 말했다. 전자부품도 액정표시장치(LCD) 관련 품목 생산 감소로 전월보다 2.6% 줄었다. 반면 화학제품은 3.5% 늘었다. 제조업 재고는 전월보다 0.9% 감소했고, 제조업 평균가동률은 전월보다 0.2%포인트 하락한 73.7%를 기록했다. 서비스업 생산은 전월보다 1.2% 상승했다.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로 숙박·음식점이 13.3% 늘어났고, 게임 및 시스템 관련 소프트웨어 개발 등 정보통신업도 2.6% 증가했다. 반면 도·소매업은 0.5% 줄었고, 금융·보험업도 1.5% 감소했다. 소비 부문은 9월보다 위축됐다. 소매판매는 0.9% 감소했다. 음식료품 등 비내구재 판매가 5.7% 줄었다. 반면 의복 등 준내구재(7.2%)와 승용차 등 내구재(2%)는 증가했다. 소매판매는 지난 8·9월 연속 전월 대비 상승했다가 석 달 만에 다시 감소로 돌아섰다. 설비투자는 전월보다 3.3% 감소했다. 기계류는 1.9% 늘었으나 항공기 등 운송장비가 14.9% 줄었다. 건설기성은 건축 공사실적이 줄어 전월보다 0.1% 감소했다. 4분기의 첫달인 10월 주요 지표가 약보합세을 보여, 지난 3분기 국내총생산 반등에 이은 경기회복 흐름이 제대로 이어지지 못하는 모습이다. 이달 중순 이후부터 코로나19가 다시 확산되면서 연말 경기 회복 가능성은 불투명해졌다. 현재 경기 흐름을 보여주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수입액·내수출하지수가 상승해 전월 대비 0.5포인트 오른 98.3을 기록했다. 가까운 미래 경기 전망을 나타내는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경제심리지수, 코스피 상승 영향으로 전월보다 0.4포인트 오른 101.8로 나타났다. 안형준 심의관은 “수치상으로는 경기 개선을 기대할 수 있는 상황인데, 코로나19라는 충격이 있기 때문에 선행지수 순환변동치의 예측력에 어느 정도 한계가 있다”며 “코로나19 재확산으로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경미 기자 kmlee@hani.co.kr
박수현 유엔해비타트 한국위원회 회장이 지난 13일 오전 서울 여의도 유엔해비타트 한국위원회 사무실에서 <한겨레>와 인터뷰 하기 전 유엔해비타트를 홍보하는 부채를 들어보이고 있다. 백소아 기자 thanks@hani.co.kr
“도시에서 청년들이 밀려나고 있어요. 이젠 도시와 청년 문제를 연결해서 논의해야 합니다.” 박수현 유엔해비타트 한국위원회 회장은 지난 13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유엔해비타트 한국위원회 사무실에서 진행한 <한겨레>와의 인터뷰에서 주거비와 생활환경 등 도시 문제가 청년에게 미치는 영향을 강조했다. 수도권의 부동산 가격은 최근 수년 사이에도 급등했다. 자기 집이 없는 청년은 내 집 마련의 꿈을 접어두고, 일단 올라간 주거비부터 걱정해야 하는 상황이다. 일자리가 불안정하거나 아직 구직 중인 청년은 도시에서 내몰리기 십상이다. 박 회장은 청년 문제를 일자리나 복지 정책만으로 풀 수 없다고 주장한다. 도시라는 주거 공간의 차원에서 청년 문제를 바라봐야 한다는 게 그의 시각이다. 박 회장이 이끄는 유엔해비타트 한국위원회는 지난해 9월 출범한 유엔의 공식 산하기구다. 그는 “유명인들이 집 짓는 봉사활동을 하는 해비타트라는 시민단체와 혼동을 하지만, 유엔해비타트는 유니세프(유엔아동기금) 등 유엔 산하의 34개 집행기구 중의 하나이고, 이 기구의 국가별 위원회가 설립된 국가는 한국이 처음”이라고 말했다. 유엔해비타트는 ‘더 나은 도시의 미래’를 위해 도시가 모두를 위한 공간이 되어야 한다는 목표를 가지고 있는 단체이고, 20년을 단위로 이 단체가 주력하는 핵심 의제를 정한다. 2016년부터 20년간 주력하는 주제는 ‘청년’과 ‘도시’다. 박 회장은 청와대 대변인이던 2017년에 이 단체의 핵심 의제가 문재인 정부의 국정 과제와 맞닿아 있다는 생각으로 편지를 보낸 것이 인연이 되었다. 유엔 산하기관이 국내에서 어떤 일을 할 수 있을까? 우선 과제는 청년과 도시와 관련된 담론의 확산이다. 유엔해비타트 한국위원회는 지난 10월 <유엔해비타트 코리아>라는 계간지를 창간했다. 지난 25일 서울에서 개최한 ‘대한민국도시포럼’도 같은 취지다. 192개 회원국의 네트워크와 각국에서 축적된 사례와 경험들은 청년을 위한 도시를 새로 기획하는 데 중요한 디딤돌이다. 박 회장은 “최근 철도시설공단(현 국가철도공단) 등 10여개의 공공기관들과 업무협약을 맺었다. 주거뿐 아니라 청년의 창업과 업무, 교육과 문화활동 등이 연계되는 공간을 기획하는 데 우리의 역량이 활용될 수 있다”고 했다. 유엔해비타트는 2002년 제1회 행사를 개최한 이후 2년마다 전세계 주요 도시에서 ‘세계도시포럼’을 열고 있다. 박 회장은 “세계도시포럼에는 192개국에서 도시정책에 참여하는 정치인, 관료, 전문가, 시민사회 인사 3만5천여명이 모인다. 2024년에 제11회 세계도시포럼을 한국에 유치하면 도시 문제를 공론화하는 데에도 도움이 될 것이고, 그 전에 국내에서 청년을 위한 도시 공간을 만드는 여러 시도들을 해볼 계획”이라고 말했다. 윤형중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정책위원 philyoon23@gmail.com
지난 25일 서울 중구 조선호텔에서 열린 ‘제1회 대한민국도시포럼’에서 참석자들이 ‘위기의 시대, 도시의 미래’를 주제로 토론하고 있다. 왼쪽부터 윤종혁 한국교육개발원 부원장, 김대관 한국문화관광연구원장, 김도년 국가스마트도시위원회 위원장, 장지상 산업연구원장, 김기완 한국개발연구원 부원장, 신광호 한국토지주택공사(LH) 스마트도시개발처장. 유엔해비타트 한국위원회 제공
지난 100여년 동안 한국의 도시는 급격한 변화를 겪었다. 21세기 들어 도시는 광폭의 성장을 했지만, 동시에 위기에 직면해 있다. 대도시의 불평등은 위험 수준을 넘어섰고 개발과 경쟁에 떠밀려 삶의 질은 갈수록 떨어지고 있다. 밀집·밀폐·밀접한 도시 환경은 코로나19의 직격탄을 맞았다. 우리는 어떤 도시에 살고 있는 것일까? 도시가 더 나은 사회의 미래 기반이 될 수는 없는 것일까? 지난 25일 서울 중구 조선호텔에서 도시의 위기를 진단하고 지속가능한 미래 도시를 모색하기 위한 ‘제1회 대한민국도시포럼’이 열렸다. 유엔해비타트 한국위원회와 한겨레신문사가 ‘위기의 시대, 도시의 미래’를 주제로 공동 주최한 이 행사에는 국가균형발전위원회와 국가스마트도시위원회, 한국토지주택공사(LH), 한국개발연구원(KDI), 지속가능도시연구소, 지방자치단체 등이 참여했다. 지자체에서 도시를 주제로 포럼을 연 적은 있지만 범국가 단위의 도시포럼이 출범하기는 처음이다. 이번 포럼에선 ‘포용’과 ‘혁신’이 열쇳말로 떠올랐다. 정세균 국무총리는 축사를 통해 “미래의 도시는 위기 속에서도 기본적인 기능을 유지하는 ‘회복 탄력성’과 ‘포용성’을 갖춰야 한다”며 “정부는 ‘도시재생뉴딜’과 ‘스마트시티’ 정책으로 그에 대한 해답을 제시하려 한다”고 말했다. 도시공간을 주제로 발표한 김인희 서울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코로나 확진 사례의 90% 이상이 도시에서 발생하고 있고 점점 복잡·다양해지는 도시 문제는 집단 참여와 융복합적 노력을 통해 해결 가능하다”며 “도시가 인류 역사의 산물이자 집단지성의 작품이듯, 오늘의 위기를 더 나은 도시를 만들기 위한 전환의 기회로 활용하자”고 말했다. 이재우 한국수출입은행 산업경제팀장은 ‘혁신을 위한 포용적 도시’ 주제의 발표에서 포용적 경제성장과 혁신의 촉진자로서 도시의 역할을 강조했다. 이 팀장은 “스웨덴과 독일, 핀란드처럼 세계적으로 혁신을 이끌고 있는 나라들은 빈곤율이 낮고 공공 사회지출 규모가 큰, 사회안전망이 잘 발달돼 있다는 사실에 주목해야 한다”며 “혁신 경제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단순히 개방된 정보 소통, 연구개발단지를 위한 공간의 역할을 넘어 사회안전망 등 포용성을 확대해야 한다”고 말했다. ‘도시와 청년’을 주제로 한 2부 세션에서는 황명선 전국시장군수구청장협의회 대표회장의 기조연설에 이어 경기 고양시, 경북 의성군, 서울 마포구 등 지자체별 지역재생 사례와 그 속에서 희망을 일구는 청년들의 이야기를 들려줬다. 1978년 설립된 유엔해비타트는 전세계 도시 정책을 관장하는 최고 기구이자 전문가 집단이다. 각국 중앙정부와 시정부, 시민단체, 개발자 등과 협력해 정책과 제도 개혁을 제안하고, 100여 나라에서 ‘더 나은 도시의 미래’를 비전으로 한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유엔해비타트는 21세기를 ‘도시의 세기’로 규정한 바 있다. 대한민국도시포럼이 ‘모두를 위한 도시, 지속가능한 도시’를 목표로 큰 걸음을 내디뎠지만, 그 노정에는 교통체증과 환경오염, 범죄 등 만만치 않은 과제들이 놓여 있다. 최근엔 기후위기에 코로나19까지 가세하면서 ‘도시의 위기’는 더 깊어지고 있다. 김현대 한겨레신문사 대표이사는 “도시는 연대와 재생의 터전이기도 하다. 위기의 시대, 도시포럼이 지속가능한 도시와 공동체 발전을 대표하는 플랫폼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현대사회의 도시는 빠르게 진화한다. 전문가들은 도시를 입체적으로 바라봐야 하며 시대별로 어떻게 진화했는지에 대해서도 다각적인 검토가 뒤따라야 한다고 말한다. 사람이 중심이 되고, 그 누구도 소외받지 않는 삶의 터전이 우리가 지향하는 도시의 모습일 것이지만, 100년 뒤에도 공유할 수 있는 도시를 만들기 위해 끊임없이 고민해야 한다는 것이다. 박수현 유엔해비타트 한국위원회 회장은 “코로나바이러스 대유행으로 도시공간 역시 거대한 변화의 흐름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게 됐다”며 “문명사적 대전환의 시기에 도시 공동체의 발전 역량을 한데 모아 더 나은 도시의 미래를 준비해나가겠다”고 말했다. 홍대선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연구위원 hongds@hani.co.kr
"경제지도기관, 주관주의·형식주의 극복 못해" 美전문가 "北, 수입에 필요한 외화 고갈된 듯" 10월 북중 무역액 전달보다 99% 감소 밀가루·식용유 등 필수품 수입 중단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노동당 정치국 확대회의를 주재하고 최근 경제 운영 전반 실태를 비판했다. 최근 북한에서 환율 급락으로 생활고가 발생하자 민심을 달래기 위해 거물 환전상을 '희생양' 삼아 처형한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김정은이 "경제지도기관들이 맡은 부문에 대한 지도를 과학적으로 하지 못하고 있다"면서 비판에 나선 것이다.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29일 북한 평양 노동당 본부청사에서 노동당 정치국 확대 회의를 열었다고 30일 조선중앙통신이 보도했다. /연합뉴스
조선중앙통신은 30일 김정은이 당 정치국 확대회의를 열고 최근 경제운영 전반 실태를 비판하고 내년 1월로 예정된 제8차 당대회 준비를 논의했다고 보도했다. 노동당 본부청사에서 열린 이번 회의에선 △노동당 제8차대회 준비상황 청취와 대책 논의 △당 중앙위 조직기구 개편 △경제지도 기관의 경제운영실태 비판과 개선 대책 논의 등을 다뤘다.
통신은 회의에서 "경제지도기관들이 맡은 부문에 대한 지도를 주객관적 환경과 조건에 맞게 과학적으로 하지 못하고 있으며 주관주의와 형식주의를 극복하지 못하고 있는 실태에 대하여 심각히 비판했다"고 전했다. 이어 회의에선 "경제사업에 대한 당적 지도를 개선하고 당면한 경제과업 집행을 위한 중요문제들"을 논의하고 '중요 결정들'을 전원일치로 채택했다. 통신은 회의에서 "당의 경제정책집행을 위한 작전과 지휘에서 과학성을 철저히 보장하고 무한한 헌신성과 책임성을 발휘할 것"을 강조했다고 설명했다.
앞서 국가정보원은 지난 27일 김정은이 최근 물가 상승과 산업가동률 저하 등 경제난 속에서 거물 환전상을 처형했다고 국회에 보고했다. 국회 정보위원회 야당 간사인 하태경 의원은 "북한이 코로나 봉쇄 이후 내수 진작을 위해 시장에서 달러 사용을 제한하자 달러 대신 북한 돈 보유 경향이 커져 북한 돈 가치가 뛰었다"며 "그러자 돈이 없는 일반 북한 주민들 생활고와 불만은 더 커졌다"고 했다. 이어 "북한 당국은 이 불만 희생양으로 거물 환전상을 골라 처형했다"고 전했다.
평양 주재 러시아대사관도 지난 10월 말 페이스북을 통해 북한 당국이 평양 소매점에서 달러화를 받지 않고, 대금을 원화로 지불할 것을 요구했다고 전한 바 있다.
함경남북도에서 수해복구전을 벌인 북한 수도당원들이 20일 김일성·김정일의 시신이 안치된 평양 금수산태양궁전 광장에서 보고대회를 열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21일 보도했다. /연합뉴스
일본의 북한전문매체 '아시아 프레스' 등에 따르면 종전 환율은 1달러에 북한 돈 8000원에 형성돼 있었다. 그러나 10월 말부터 하락세를 보여, 11월에는 20% 하락한 1달러에 6500원에 형성됐다. 중국 위안화도 비슷한 상황이 벌어져, 1위안에 1200원이었으나 10월 말을 기해 830~890원으로크게 하락했다. 외화 가치가 하락하고, 북한 원 가치가 상승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개방 경제에서는 경제가 좋으면 돈의 가치가 올라가고, 반대로 경제 사정이 나쁘면 돈의 가치가 떨어진다. 북한은 대북 제재와 코로나 사태, 수해 피해까지 '삼중고'를 겪고 있는데 반대로 북한 돈 가치가 높아지는 정반대 현상이 나타난 것이다.
미국의소리(VOA)방송은 지난 27일(현지 시각) 미 해군분석센터 켄 고스 국장이 "외화난에 시달리는 북한 당국이 돈주와 주민들이 갖고 있는 외화를 흡수하기 위해 인위적으로 환율을 낮춘 것 같다"고 분석했다.
미국의 북한 경제 전문가 윌리엄 브라운 조지타운대 교수는 VOA에 "10월 북·중 무역액이 과거 양상과 매우 다르다"며 "북한 당국이 수입에 필요한 외화가 고갈된 것 같다"고 했다. 중국 해관총서에 따르면 10월 북한의 대중 수입액은 26만 달러에 그쳤다. 이는 전 달인 9월의 수입액(1888 만 달러)보다 99% 감소한 수치다. 중국에서 들여오는 수입 품목도 9월 274개에서 10월에는 4개로 대폭 감소했다. 밀가루와 식용유 같은 식료품은 물론 담배와 의약품까지 대부분의 필수품 수입이 중단됐다.
kuyupkali.blogspot.com ‘2020 대한민국 중소벤처기업 대상’ 29개 기업 수상
신시장 개척-일자리 확대 등 경영 활동의 모범사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국내는 물론이고 전 세계 경제가 녹록지 않은 현실을 맞이했다. 빠른 시일 내에 돌파구를 마련하고 회복력을 갖추지 못한다면 장기침체에 빠질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가 크다. 특히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아 위기에 버틸 체력이 부족한 중소벤처기업에 가해지는 부담은 여느 때보다 높다. 성숙기에 접어든 대기업에 비해 중소벤처기업이 위기에 더 취약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런 상황에서 중소벤처기업이 돌파구를 마련하고 생존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키워드로 변화와 혁신을 꼽는 이들이 적지 않다. 특히 중소벤처기업의 혁신은 노동 생산성 향상이나 신시장 개척, 일자리 확대 등 광범위한 분야에 걸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기 마련이다. 그런 의미에서 한국 경제 위기 극복의 핵심 열쇠가 바로 중소벤처기업의 혁신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중소벤처기업이 혁신을 통해서 성장한다면 한국 경제의 외연이 넓어질 수 있다. 기업을 운영하는 기업인들에겐 그만큼 부담도 크지만 한편으로는 한국 경제 부흥의 사명을 짊어진 것이라고도 할 수 있다. 이들이 사회적으로 존경받아야 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동아일보는 중소벤처기업 차원의 혁신 필요성이 높아진 올해 ‘2020 대한민국 중소벤처기업 대상’을 신설했다. 한국 경제의 중추가 중소벤처기업임을 밝히고 이들의 경영활동을 우리 경제의 모범사례로 삼기 위해서다.
주요기사
전례 없는 위기 상황 속에서도 글로벌이라는 신시장 발굴과 개척에 도전적으로 나선 중소벤처기업들이 수상자로 선정됐다. 또 기업가 정신을 적극적으로 발휘하고 내부 경영 역량을 극대화한 기업도 경영혁신 부문에서 수상하는 영예를 누리게 됐다. 글로벌 부문과 지속가능 부문 등에서도 눈에 띄는 성과들이 보인다. 기술혁신을 통해서 성장한 기업들도 주목할 만하다. 이번 수상 기업들은 특히나 위기에 굴하지 않고 차별화된 가치를 창출했기에 한국 경제 성장에 든든한 주춧돌로 평가받는다. 이들 기업이 있어서 위기를 맞은 한국 경제가 조만간 돌파구를 찾을 수 있을 것이라는 희망도 걸어볼 수 있다. 이번 수상 기업의 영역은 정보기술(IT)에서 제조업까지 넓은 범위에 걸쳐져 있다.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한국 기업이 기업가 정신을 발휘해 탄탄한 성장 발판을 마련했음을 보여주는 생생한 사례들이다. 이번 시상식에서 수상한 기업들은 악조건 속에서도 내실을 다져 나가고 있다.
수상한 29개 기업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한국 산업에 극복 가능성을 제시하고 발전에 대한 희망을 던지고 있다. 대한민국의 미래에도 나침반이 되며 밝은 미래로의 방향성을 제시해준다는 점에서 의미가 적지 않다. 기업이 희망이다.
어떻게 선정했나
국내 기업과 기관, 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국가 경제와 수출입 분야에 밀접한 관계를 갖는 부문에 맞춰 사전 후보군 조사를 실시했다. 조사는 기업 정보, 기초 자료 등을 활용해 2020년 9월 28일부터 10월8일까지 리서치를 실시해 후보 기업(기관)을 선정했다. 이어 후보 기업(기관)을 바탕으로 지원 및 관련 제출 자료를 수렴한 뒤 11월 18일 이동기 심사위원장(서울대 교수)을 중심으로 1, 2차 심사를 실시해 최종 수상 기업(기관)을 선정했다. 평가항목은 경영비전과 철학, 매출 및 재무안전성, 외부 평가 등을 공통 항목으로 평가한 뒤 8개 부문별로 추가 심사를 진행했다.
▼심사위원장 심사평 이동기 서울대 경영대 교수 ▼ 중소벤처기업 혁신에 우리의 미래가 있다
이동기 서울대 경영대 교수
지금 세계 경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심각한 위기를 맞고 있다. 백신 개발과 같은 희망적 뉴스도 들려오지만 이 위기가 얼마나 지속될지, 그 파장은 어느 정도일지 예측하기 매우 어렵다. 이미 코로나 사태 이전부터 구조적으로 위축되고 있던 우리나라 경제의 회복 전망이 더욱 어두워졌다. 최근의 위기는 정부, 기업, 국민 모두에게 단기적 처방을 넘어 구조적 혁신을 요구한다. 코로나 사태 이후의 산업 구조와 기업 경영 방식은 크게 변화돼 갈 것이다. 또 한편으로는 디지털화가 가속화되고 혁신 기회는 더욱 넓어질 것이다.
기업들이 위기 상황을 돌파하고 생존하는 유일한 길은 ‘혁신’이다. 기존의 사업 방식을 과감히 재편하거나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발굴하고 실행해 나가는 혁신적 성장 기업들이 많이 나와야 우리나라의 미래가 밝아진다. 벤처나 중소기업에서 중견기업, 글로벌기업으로 지속 성장하는 기업들이 많이 나오는 산업성장 생태계를 구축해야 국가 경제의 활력이 높아지고 좋은 일자리 창출 가능성도 커진다. 중소벤처기업도 단순히 보호 대상으로만 볼 것이 아니라 혁신 성장의 주체로 바라봐야 할 것이다. 중소벤처기업의 혁신에 우리나라의 미래가 달려 있기 때문이다.
이번 ‘2020 대한민국 중소벤처기업 대상’은 공정한 기준을 통해 우수혁신기업을 발굴해서 활력 있는 산업생태계 조성을 위한 혁신경영 모범사례를 널리 전파하고 격려하기 위해 마련됐다. ‘2020 대한민국 중소벤처기업 대상’ 수상 기업의 선정은 공적서 검토 및 서류심사, 최종심의 단계를 거쳐 확정되었다. 혁신기업의 평가 기준은 경영혁신, 기술혁신, 품질혁신, 고객감동, 지속가능, 지식재산, 글로벌 부문 등으로 구성됐다.
이러한 기준에 따라 평가한 결과 혁신성이 매우 높고 향후 성장잠재력이 높은 5개 기업에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상을 수여하게 됐고 탄탄한 혁신 핵심역량을 확보한 24개 기업에 중소벤처기업 대상과 공로상을 수여하게 됐다. 수상하게 된 모든 기업들에 큰 축하의 박수를 보낸다.
오늘 수상하는 중소벤처기업들은 어려운 대내외적 여건을 맞아서도 위축되지 않고 적극적인 기업가 정신을 발휘해 핵심 분야에서 탄탄한 차별적 우위 구축에 성공한 혁신기업들이다. 이들은 전국적으로 이름이 알려진 유명한 기업들은 아닐지 모르지만 다양한 지역에서 견실한 경쟁력으로 지역경제 발전에 기여하고 있는 주역들이다.
오늘 수상의 영광을 누리게 된 모든 기업들은 앞으로도 지속적 혁신을 통한 경쟁력으로 계속 성장해 나가리라 믿는다. 이들 기업이 계속 성장 발전해 나갈 수 있도록 국회와 정부는 정책적, 제도적 뒷받침을 제대로 해주길 기대한다. 산업 구조와 기업 경영 트렌드의 변화라는 추세에 맞게 정부 정책의 기본 틀도 혁신하고 변해야 한다는 사실을 강조하며 심사평을 마치고자 한다.
박지원 기자 jwpark@donga.com
창닫기
기사를 추천 하셨습니다기업가 정신으로 ‘혁신’ 실현… 위기 극복하고 한국 경제 선도베스트 추천 뉴스
미국 대선을 앞두고 주춤했던 글로벌 주가가 다시 빠르게 오르고 있다. 우리나라 주가는 2018년 1월에 기록한 역사적 최고점을 경신한 상태고, 미국 다우지수도 사상 처음 3만포인트를 넘어 질주 중이다. 그런가 하면 일본 니케이(NIKKEI)225 지수도 1991년 1월 이후 최고치로 올라섰다. 11월 중 주요국 주가지수는 10% 넘게 상승했는데, 특히 우리나라 코스피는 16% 가까이 올라 역대급 기록을 세웠다. 그런데 이러한 증시 활황이 무색하게 다른 한편에서는 코로나19의 재확산으로 경제 활동을 통제하기 시작한 나라들이 늘고, 그 충격으로 성장률이 다시 한 번 크게 떨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등장하고 있다. 이 때문에 보수적인 투자자들, 즉 증시가 코로나19 충격으로 떨어지기 전 수준으로 복귀한 6월 이후 줄곧 경제 상황에 비해 주가가 너무 비싸다고 생각해 기다려 온 투자자들은 상대적 박탈감에 시달리고 있다. 특히 이들 중 일부는 주가가 떨어질 때 가격이 오르는 인버스 상장지수펀드(ETF)에 투자한 후 손실을 보고 있기도 하다. 도대체 어떤 일이 벌어지고 있는 것일까? 좋지 않은 현재의 경제 상황과 계속 오르고 있는 국내 주가를 설명할 수 있는 열쇠는 결국 투자자들의 ‘기대’다. 비록 지금은 경제가 나쁘고 기업들의 실적도 예년만 못하지만, 결국은 이러한 상황에서 벗어날 것이고 경제와 기업들이 정상을 되찾아갈 것이라는 기대가 주식시장에 반영되고 있다는 얘기다. 그리고 백신 개발과 재정정책, 최근 나타나고 있는 수출 회복 기조가 이러한 기대를 키우는 요인이라 할 수 있다. 물론 기대를 감안해도 지금 주가가 비싸 보인다는 주장 역시 존재한다. 내년에 기업 이익이 늘어난다고 해도 지난 2017~2018년보다는 작을 것이라는 게 시장의 평균적인 전망인데, 주가는 이미 그 당시의 고점을 뛰어넘었기 때문에 그렇다는 얘기다. 실제로 증시에서 가격 적정성을 판단할 때 주로 사용하는 주가수익비율(PER)의 최근 수치는 수년래 가장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어 이러한 의견에 힘을 실어준다. 그렇지만, ‘기대’만큼 중요한 투자자들의 ‘태도’ 역시 이전과 달라졌다는 점 역시 분명해 보인다. 많은 투자자들이 같은 경제 실적이나 기업 이익 전망치에 대해 과거보다 더 많은 점수를 주고 주식을 사고 있다는 얘기다. 그렇다면 왜 태도가 달라졌을까? 아무래도 낮은 금리가 가장 중요한 이유일 것이다. 투자자들은 늘 고정수익을 주는 자산과, 더 많은 이익이나 손실을 줄 수 있는 위험자산의 기대수익을 비교하는데, 고정수익 자산의 기대수익이 낮아지면서 위험자산의 기대수익도 같이 낮아져, 더 높은 위험자산 가격을 감수하게 됐다는 얘기다. 게다가 대안도 마땅치 않다. 사실 국내에서는 금리가 낮아질 때 주식보다는 부동산 가격이 움직이는 게 과거 경험이었다. 하지만 이번에는 부동산 가격이 이미 급등해 투자 원금 부담이 커진 데다 각종 규제로 부동산 투자의 세후 기대수익률이 낮아졌고, 특히 투자 목적의 주택 매수는 거의 불가능한 상태다. 그래서 상대적으로 각종 제약이 덜한 증시로 자금이 이동하는 모습이다. 11월 들어서는 외국인들의 한국 증시 투자도 증가하고 있는데, 이 역시 미래에 대한 기대와 변화된 태도를 반영한 것이다. 우리 주요 기업들은 성공적인 방역으로 생산이 거의 차질을 빚지 않았고 이 때문에 각국 정부의 소득 보전 정책에 따른 소비 증가의 수혜를 입었다. 일부 업종에서 주도하고 있다는 아쉬움이 있지만 수출 회복과 양호한 3분기 기업 실적은 이 같은 상황을 잘 보여준다. 이 때문에 한국 증시에 대한 기대가 커진 것으로 보인다. 게다가 저금리는 우리만의 문제가 아니다. 외국인 투자자 역시 저금리로 위험자산을 대하는 태도가 달라졌을 것이다. 최근 들어 우리나라도 코로나19 확산이 빨라져 걱정이다.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가 상향되면서 자영업자와 오프라인 서비스업은 이미 충격을 받고 있고 더 심해지면 기업의 생산 차질로 이어질 수도 있다. 대외적으로는 미국 대선 이후 중국과 갈등이 더 격화되고 이 와중에 우리나라가 미·중 사이에서 어려운 선택을 해야 할 상황에 놓일 수 있다. 증시 자체를 봐도 너무 빠른 주가 상승으로 단기적으론 내릴 수 있다. 그러나 경기 회복에 대한 기대 그리고 과거와 달라진 국내외 투자자들의 태도를 감안할 때 국내 증시는 내렸다가도 다시 상승하는 추세를 나타낼 전망이다. 최석원 ㅣ SK증권 리서치센터장
[세종=뉴스핌] 민경하 기자 = 이번주(11월30일~12월4일)에는 3차 재난지원금 지급을 둘러싼 정부와 국회의 논의가 구체화될 전망이다. 1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발표하는 '세계경제전망'에서 우리나라의 경제성장률이 조정될지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29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오는 30일과 1일 이틀에 걸쳐 국회를 방문한다. 30일은 기획재정위원회 전체회의에 참석하며 1일에는 예산과 관련해 별도로 국회를 방문하는 일정이다.
국회에서는 내년도 예산안 일부로 3차 재난지원금 재원을 포함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다. 최근 코로나19 3차 확산으로 피해를 입은 소상공인·자영업자와 특수형태근로종사자 등 고용 취약계층에 내년초 4조원 안팎의 재난지원금을 선별 지급하는 것이 골자다.
[서울=뉴스핌] 이형석 기자 =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2일 오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필수노동자 보호 및 지원대책 당정청 협의회에서 대화를 하고 있다. 2020.11.12 leehs@newspim.com
홍 부총리는 이번 국회 방문을 통해 재난지원금 지급대상과 방식을 논의할 것으로 관측된다. 김용범 기재부 1차관 또한 지난 26일 제21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 브리핑에서 "3차 재난지원금은 국회에서 협의가 있을 것"이라며 "정부도 상황을 예의주시하며 대응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다만 역대 최대인 555조8000억원 규모의 내년도 예산안을 추가로 늘리는 것은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재난지원금 재원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다른 예산을 줄이고 예비비를 일부 사용하더라도 최소 2조원 가량은 국채를 추가 발행해 조달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오는 1일에는 OECD가 세계경제전망을 발표한다. OECD는 지난 9월 올해 우리나라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1.0%로 하향 조정한 바 있다. 최근 코로나19 3차 확산을 감안해 일부 하향조정될 가능성이 있다.
통계청은 오는 30일 '10월 산업활동동향'을 발표한다. 지난 9월 산업활동동향에서는 전산업 생산이 전월대비 2.3% 상승하는 등 호조를 보였다. 10월 동향 또한 코로나19 3차 확산 이전이기 때문에 양호한 지표가 예상된다.
통계청이 오는 2일 발표하는 '11월 소비자물가동향'도 주목된다. 지난 10월 소비자물가동향에서는 물가 상승률이 전년동월대비 0.1% 상승하는데 그친 가운데 농축수산물 물가가 13.3% 오른 바 있다.
이밖에도 통계청은 오는 2일 '2019년 생명표'와 3일 '2019년 일자리행정통계'를 각각 발표할 예정이다. 홍 부총리는 오는 2일 부동산시장 점검 관계장관회의와 3일 혁신성장전략회의를 각각 주재한다.
지난 2018년 A씨는 30년 넘게 소유하고 있던 아파트를 매도하면서 1세대 1주택 비과세 혜택을 받을 것이라 생각하고 양도소득세를 신고했고 세무서도 이를 인정했다.
하지만 지방국세청에서 해당 세무서에 대한 종합감사를 하면서 A씨가 국내에 머문 일수가 80여일 밖에 불과한 것이 드러났고 A씨에게 적용한 1세대 1주택 비과세 적용은 취소됐다.
이에 A씨는 조세심판원의 문을 두드렸다. 국내에 머문 기간은 얼마되지 않지만, 국내에 있는 가족들을 지원하며 실질적인 경제활동은 국내에서 했다며 억울한을 호소했다.
A씨는 고등학교를 졸업한 뒤 은행에서 10년 정도 근무하다가 지인에게 다른 나라로 가서 사업을 할 것을 권유받았다. 이후 한국과 중국에서 악세사리를 저렴하게 사들여 다른 나라에 판매하는 보따리상 사업을 하던 중 그 나라에 아주 눌러앉게 됐다.
하지만 A씨는 출국한 1987년 이후 현재까지도 대한민국 국적을 유지하고 있으며 독신으로 살면서 큰오빠가 사망한 뒤 조카와 올케를 살뜰히 챙기며 경제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또한 한국에서 부동산 매매, 법인 투자, 4대보험 납부 등 경제적 활동을 하고 있다.
하지만 국세청은 A씨의 주민등록상 거주지는 전체 층이 상가로 사용되고 있어 실제로 거주하고 있다고 보기 어려워 국내 거주라라고 인정하기 어렵다고 항변했다.
심판원은 어떤 결정을 내렸을까.
심판원은 "A씨는 다른 나라 영주권을 취득한 영주권자로 2014~2019년 국내에 거주한 기간이 94일에 불과하고 다른 나라에서 경제활동을 하면서 생계를 꾸려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국내 가족에게 생활비를 지원했다고는 하지만 이에 대한 금융증빙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고 국세청의 손을 들어줬다.
소비위축으로 가계 저축률이 크게 높아지고 있다. 이는 다시 경기 부진으로 이어지고 계층 간 소득 불평등을 심화시킬 것이란 우려로 이어진다. 그래픽_김승미
우리나라 가계의 저축률이 올해 두 자릿수대로 높아질 것이란 전망이 한국은행에서 나왔다. 저축률이 실제 두 자릿수에 이르면 1999년 이후 21년 만이다. 이례적으로 높은 가계 저축률은 코로나19에 따른 소비 위축에서 비롯되고 있으며, 경기 부진과 소득 불평등 심화로 이어질 것이란 분석을 낳고 있다. 한은 조사국의 이용대 과장은 29일 한은 ‘조사통계 월보’에 실은 보고서에서 “코로나 위기로 소비가 위축되면서 가계의 소득에서 소비되고 남은 부분(저축)의 비율인 가계 저축률이 크게 상승할 전망”이라고 밝힌 뒤 따로 연 설명회에서 “올해 10% 정도에 이를 것”으로 추정했다. 지난해 가계 저축률은 6.0%였다. 국내 가계 저축률은 1980년대 후반~1990년대 초반만 해도 20%를 웃돌다가 1999년(13.2%) 이후 한 자릿수로 떨어졌다. 역대 최고치는 1988년 23.9%이며, 1990년 이후로는 1991년의 23.4%가 가장 높다. 2015~2019년 5년 평균치는 6.9% 수준이다. 이런 흐름에서 10% 가계 저축률은 매우 이례적이라 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총저축률 30~40% 수준(1분기 36.0%, 2분기 34.5%)으로 높은 편이나, 국민소득의 상당 부분이 기업 이윤으로 흘러 가계 저축률은 낮게 유지됐다. 총저축은 기업과 정부까지 포괄해 국민 경제가 소비나 저축으로 처분할 수 있는 소득(국민 총처분 가능 소득)에서 최종소비지출을 뺀 나머지를 뜻한다. 올해 들어 나타난 가계 저축률 상승세는 사회적 거리 두기 강화, 감염 우려 등으로 여행, 숙박·음식과 같은 대면 서비스 부문의 소비 위축 탓이다. 코로나 사태에 따른 소비 위축과 가계(개인) 저축률 상승세는 다른 나라들에서도 뚜렷하다. 미국의 개인 저축률은 2019년 7.5%에서 올해 2분기 25.7%로 높아졌고, 같은 기간 유로 지역 가계저축률은 12.9%에서 24.6%로 높아졌다. 가계 저축률을 1년에 한 번씩 발표하는 우리와 달리 미국은 월별, 유로 지역은 분기별로 발표하고 있다. 이용대 과장은 “미국의 경우 올 4월에 33%를 넘기도 했다”며 “당시 미국에서 코로나 확산이 심화돼 이동 조치가 강했기 때문”으로 풀이했다. 이 과장은 “저축률 상승은 기업의 자금조달 통로를 넓히고 연구·개발(R&D) 투자를 늘려 생산성을 높이는 긍정적 효과를 띠지만, 불확실성 탓에 투자가 늘어나기 어렵다면 소비 위축을 통해 경기 부진으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저축률 상승에 따른 소비 위축과 전반적인 경기 부진은 다시 취약계층의 근로소득 감소로 이어질 수밖에 없고, 결국 소득 불평등을 심화시킬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이 과장은 진단했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도 “취약계층을 제외하면 사람들의 구매력은 괜찮은 편인데, 미래가 어떻게 될지 모르니 아끼자는 분위기여서 저축률 상승으로 이어지는 듯하다”며 “양극화가 심해질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7일 주요 연구기관장을 만난 자리에서 “방역과 경제 간 균형점을 강구해야 하는 상황에서 내수 경기의 신속한 활력 회복을 위한 특단의 대책을 고민하고 있다”고 밝힌 것도 이런 맥락으로 풀이된다. 저축률 상승의 이면인 소비 위축에 대한 우려는 지난 26일 한은의 수정 경제전망에서도 나왔다. 한은은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8월 전망 때(-1.3%)보다 높은 -1.1%로 제시하면서도 민간 소비 성장 전망치는 8월 때(-3.9%)보다 훨씬 낮은 -4.3%로 제시했다. 석 달 전 전망 때보다 경제 전반이 나아지긴 해도 투자·수출 쪽의 상대적 호전에서 비롯된다는 관측은 내수와 수출을 비롯한 부문 간 격차가 커질 것임을 예고하는 대목이다. 김영배 기자 kimyb@hani.co.kr
정치권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재확산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자영업자를 대상으로 ‘3차 재난지원금’ 지급을 추진 중입니다. 이들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자영업자들을 도와야 한다’며 큰 소리를 냅니다.
다만 이 같은 행보에 ‘무책임 하다’는 비판이 제기됩니다. 이들이 주장하는 3차 재난 지원금의 재원은 다 국민들이 낸 세금이기 때문입니다.
‘재정 포퓰리즘’ 논란도 거세지는 모습입니다. 재난지원금과 같은 현금 지원의 경제 효과가 불확실한데다 올 들어 네 차례 추가경정예산 편성 등으로 나라 살림이 빠르게 악화되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코로나19 재확산마다 재난지원금을 살포할 것이냐”며 잇따른 정치권의 ‘땜질 지원’에 제동을 걸어야 한다고 지적합니다. 반면 내년 서울·부산 시장 보궐선거 등 ‘빅이벤트’를 앞둔 정치권은 미래 세대를 염두에 두지 않은 ‘묻지 마 재정확대’를 기반으로 민심 얻기에만 골몰하는 모습입니다.
현재 나라 살림 상태는 어떨까요. 올 들어 네 차례 추경으로 국가 채무는 846조9,000억원에 달합니다. 올해 본예산 기준 대비 41조7,000억원 늘었습니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채무 비율 또한 43.9%로 본예산 대비 4.1%포인트 급증했습니다. 정부의 실질적 살림살이를 보여주는 관리 재정 수지 적자 규모는 118조6,000억원을 기록 중입니다.
나라살림의 미래도 어둡습니다. 기획재정부와 국회예산정책처 등에 따르면 국가 채무는 계속 증가해 오는 2022년 1,000조원을 넘어 2024년에는 1,334조5,000억원으로 급증하고 채무 비율 또한 58.6%까지 치솟습니다.
더 큰 문제는 이 같은 수치도 3차 재난지원금 살포 등의 가능성을 배제한 낙관적 전망에 기초한다는 점에 있습니다. 국민의힘이 주장하는 3조6,000억원 규모의 3차 재난지원금이 전액 국채 발행으로 조달될 경우 국가 채무 비율은 0.2%포인트 추가 상승할 것으로 분석됩니다. 무엇보다 코로나19 확산세가 내년에도 꺾이지 않을 경우 재난지원금 살포 요구가 매번 제기될 수 있어 나라 살림 악화에 대한 우려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재난지원금의 경제적 효과에 대해서도 여전히 물음표가 제기됩니다. 지난 8월 한국은행 보고서에 따르면 재난지원금과 같은 정부의 이전 지출 재정 승수는 0.2~0.33에 불과해 정부 소비(0.85~0.91), 정부투자(0.64~0.86) 등과 비교해 크게 낮습니다. 다시 말해 정부가 이전 지출 형태로 1조원가량의 재정을 투입하면 GDP는 2,000억~3,300억원 정도 늘어나는 데 그친다는 뜻입니다. 한국은행 측은 4년 전 재정 승수를 추산한 보고서에서도 “정부 이전 지출의 승수가 낮은 것은 단순 소비 가계가 정부 이전 지출 확대로 소비가 늘면 노동 공급을 축소하기 때문”이라는 분석을 내놓기도 했습니다.
특히 이 같은 재정 악화는 증세로 이어질 것이라는 시각이 지배적입니다. 실제 정부는 고소득자 소득 세율 상한을 최고 49.5%(지방세 포함)로 상향하는 세법 개정안의 국회 통과를 추진 중이며, 종합부동산세 등 부동산 관련 세금은 아파트 가격 상승 및 세율 변경 등으로 이미 ‘세금 폭탄’ 수준입니다. 2년 전에는 법인세 최고세율을 기존 대비 3%포인트 높였습니다. 웬만한 대기업은 영업이익의 27.5%(지방세 포함)를 법인세로 국가에 납부해야 합니다. 김소영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는 “정부가 세금을 늘려 민간투자와 소비를 위축할 경우 경제성장이 더욱 어려워질 가능성이 높으며 잠재 성장력도 줄어들 수밖에 없다”며 “재난지원금만 하더라도 관련 지원이 경기 부양으로 이어질지 의문인데다가 매번 지원금 형태로 이들을 지원할 경우 재정 악화 속도가 가팔라질 수밖에 없다”고 진단합니다.
이 같은 정치권의 ‘재정 중독’은 결국 ‘주인(국민)-대리인(정치인)’ 문제로 볼 수 있습니다. ‘경제학의 아버지’라 불리는 아담 스미스는 자신의 저서 ‘국부론’을 통해 “기업 내에서 매니저가 다른 사람들의 돈을 관리할 때, 자신의 돈을 관리하는 것만큼 다른 사람의 돈도 관리할 거라고 기대하기 힘들다”고 지적했습니다. 국민의 대리인인 정치인들이 본인 가계 살림을 관리하듯, 국민의 재산인 국가재정을 관리할 것이란 기대는 ‘헛된 기대’일 가능성이 높다는 말입니다. 내년 재보궐 선거, 내후년 대통령 선거와 지방선거 일정 등을 감안하면 이같은 대리인들의 ‘도덕적 해이’는 계속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미래세대의 어깨는 더욱 무거워질 수밖에 없겠네요. /세종=양철민기자 chopin@sedaily.com
[천지일보 목포=김미정 기자] 목포시가 남항의 기능을 대폭 강화해 지역 경제를 견인할 성장 동력으로 육성한다.
목포시에 따르며 지역 경제구조의 중심이었던 조선업의 새로운 도약을 위해 남항에 친환경 선박 클러스터를 조성한다.
현재 전 세계 조선업은 국제해사기구(IMO)의 온실가스 배출 규제에 따라 화석연료가 아닌 청정·대체에너지를 이용하는 선박에 관한 관심이 커지고 있어 전기추진 선박은 미래형 친환경 선박산업을 선도할 핵심 산업으로 전망되고 있다.
시는 조선업의 변화에 발 빠르게 대응해 지난 4월 해양수산부의 ‘전기추진 차도선·이동식 전원공급시스템 개발’ 공모 사업에 선정되며 이동식 전기 배터리를 이용하는 전기추진 선박산업을 선점했다.
목포 남항을 근거지로 전기에너지로 운행하는 선박과 전원공급시스템을 오는 2024년까지 총 450억원을 투입해 개발할 예정이다.
목포 남항 전기추진 차도선 개념도. (제공: 목포시)
이에 목포시는 조선업을 비롯한 전기배터리, 모터, 배전시스템 등의 관련 기자재 기업 유치로 친환경선박 기술을 연구하는 새로운 거점도시로 도약하게 된다.
후속 사업으로 이산화탄소 저감을 위한 친환경 연료 추진시스템 실증을 위해 494억원 규모의 ‘친환경선박 혼합연료 추진시스템 실증 해상 테스트베드’를 구축한다.
시는 지난 9월 22일 전라남도,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KRISO),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UST) 등 관련 기관과 업무 협약을 체결하고 오는 2023년 완공을 목표로 친환경연료추진연구센터 등 국가 연구기관을 유치하며 순조롭게 추진해 나가고 있다.
또 남항의 유휴 부지는 시민과 관광객을 위한 힐링 공간으로 정비된다. 시는 지난 9월 남항 유휴 부지 9000여평을 가을꽃 정원으로 정비해 시민들로부터 호평을 받았다. 해당 부지는 목포해양수산청 소유로 그간 방치돼 불법 투기 쓰레기와 잡초로 몸살을 앓았었다. 그러나 목포시와 협업을 통해 코스모스, 백일홍, 해바라기 등 가을꽃으로 가득 채워 목포의 새로운 꽃길 명소로 자리매김했다.
목포 남항 해변맛길 30리 2구간 조성계획. (제공: 목포시)
남항은 특히 민선 7기 공약사항인 ‘해변맛길 30리 조성 사업’과 연계되는 구간이다. 이에 목포시는 남항 일원에 형성된 해송, 갈대습지를 정비해 해송숲길, 갈대습지 생태길로 조성하고 9000여평의 부지에는 계절별 꽃을 심어 사계절 꽃길로 조성할 계획이다.
김종식 목포시장은 “변화하는 조선업의 흐름에 맞춰 친환경선박사업에 도전해 목포 조선업에 획기적인 전기를 맞이하게 됐다”며 “남항에 조성되는 친환경선박 클러스터는 지역경제의 큰 축으로 건강한 산업생태계 조성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남항을 경제와 환경, 시민의 쉼터가 공존하는 공간으로 기능을 강화해 명실상부한 목포 최고의 항구로 성장시켜 나가겠다”고 전했다.
제13회 사회적 경제 공모전 시상 사회적 기업 ‘코끼리 공장’ 소개한 ‘마중물’ 최고상 받아
기후위기, 교육 불평등에 맞서는 기업 유튜브로 소개 89개 영상 접수, 10개 팀 수상
사회적 기업 ‘코끼리 공장’ 홍보 영상을 만든 ‘마중물’ 팀.
울산시 울주군엔 버려진 장난감에 새 생명을 불어넣는 곳이 있다. 사회적 기업 ‘코끼리 공장’이다. 버려지거나 기부받은 장난감을 고쳐서 형편이 어려운 아이들에게 선물한다. 직원 대부분은 은퇴자나 노인, 취약계층 청년, 경력 단절 여성이다. 코끼리 공장은 아이들에게 꿈을 선물하면서 동시에 환경을 보호하고 일자리 창출에도 힘쓰며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고 있다. 코끼리 공장 이야기가 청년들의 손을 거쳐 영상으로 만들어졌다. 조소영(26), 정서영(27), 정유민(24)씨가 그 주인공이다. 시사교양 프로듀서 지망생인 이들은 사회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콘텐츠를 만들어 세상에 널리 알리기로 뜻을 모았다. ‘마중물’이라는 팀을 꾸린 이들은 지난 6월 코끼리 공장 홍보 영상을 제작해 유튜브에 공개했다. ‘마중물’은 ‘2020 사회적경제 공모전’에서 청년 부문 최고상인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장상을 수상했다. “영상을 유튜브에 올린 뒤 장난감을 기부하고 싶다는 연락을 받기도 했어요. 코끼리 공장의 따뜻한 이야기가 널리 알려진다면 부모들 사이에서 ‘장난감 기부 운동’이 일어날 수도 있지 않을까요?” 정서영씨는 이렇게 수상 소감을 전했다.
이채진 코끼리 공장 대표를 인터뷰하는 모습. 유튜브 화면 갈무리
‘사회적경제, 아무영상 챌린지’를 주제로 한 이번 공모전은 우리 주변의 사회적 경제 기업을 영상으로 소개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참가자들은 직접 사회적 경제 기업에 방문해 이들이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과정을 지켜봤다. 최연소 참가자인 배성완군은 “공모전을 준비하면서 사회적 경제가 사회 전체의 이익을 추구하고, 다 같이 성장할 수 있도록 이끄는 개념이라고 생각했어요. 저도 커서 누군가에게 도움이 되는 사람이 되고 싶습니다”라고 참가 소감을 밝히기도 했다. 배군이 속한 서울 삼광초등학교 영상제작반 팀은 청소년 부문에서 최고상인 교육부 장관상을 수상했다. 이들은 노숙인들이 직접 폐자전거를 수리하면서 자립할 수 있도록 돕는 사회적 기업 ‘두바퀴희망자전거’를 소개했다.
사전 인터뷰 촬영에 참여한 삼광초 영상제작반 학생들과 지도 교사.
아이쿱(iCOOP)생협연합회와 한겨레신문사, 한국사회적기업중앙협의회, 사회적경제활성화전국네트워크가 공동 주최한 올해 공모전엔 89건의 작품이 접수됐고, 이 중 10개팀의 작품이 수상작으로 선정됐다. 참가자들은 브이로그, 캠페인, 패러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사회적 경제 기업을 소개했다. 우수상은 마을여행 협동조합 ‘마포산책’을 소개한 ‘알고리ZOOM’ 팀이 수상했다. 올해 시상식은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수상자들의 인터뷰를 담은 영상을 유튜브로 공개하는 것으로 대체됐다. 글·사진 서혜빈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연구원 hyebin@hani.co.kr
은행연합회는 27일 총회를 개최하고 김광수 농협금융지주 회장을 만장일치로 제14대 은행연합회 회장으로 선출했다고 밝혔다. 김 회장은 지난 24일 회장후보추천위원회의 차기 회장 단독 후보로 추천 받았다. 신임 회장은 내달 1일부터 3년 임기를 시작한다. 농협금융지주는 새 회장을 선임하기 전까지 당분간 김인태 부사장 직무대행 체제로 운영할 예정이다. 김 회장은 재정경제부 금융정책과장, 대통령비서실 경제정책수석실 경제정책선임행정관, 금융위원회 금융서비스국장 등을 지낸 금융 관료다. 법무법인 율촌 고문으로 지내다 지난 2018년 4월 농협금융지주 회장으로 취임했다. 신다은 기자 downy@hani.co.kr
Pedestrians cross a street at night in the Shinjuku district of Tokyo, Japan, on Thursday, Nov. 19, 2020. Tokyo raised its Covid-19 alert to the highest of four levels, as daily infections in the Japanese capital increased by more than 500 for the first time amid a resurgence of the pathogen across the count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