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s

Tuesday, June 30, 2020

최근 제주 경제 성장과 침체, 건설 경기 영향이 가장 커 - 제주의소리

kuyupkali.blogspot.com
한국은행 제주본부 '제주지역 경제성장의 특징 및 시사점'
ⓒ한국은행 제주본부.
제주 GRDP 성장률과 제주 건설업 성장률. ⓒ한국은행 제주본부.

건설경기 활황에 따라 고속 성장을 지속하던 제주 경제가 건설경기 침체 영향을 받아 성장세도 큰 폭으로 둔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 제주본부가 30일 발표한 ‘제주지역 경제성장의 특징 및 시사점’에 따르면 제주 경제 고성장기인 2011~2017년 제주 연평균 지역내총생산(GRDP) 성장률은 6.4%로 같은 기간 전국 평균(3.1%)보다 2배 이상 높았다.
2017년 기준 건설업은 제주 GRDP에 12.5%를 차지했는데, GRPD 비중에 비해 높은 성장기여율을 보이면서 제주 경제 고성장을 주도했다. 2017년 기준 건설업이 제주 경제에 끼친 성장기여율만 27.4%에 달한다.
고성장기 제주 건설업 연평균 성장률은 13.4%에 달했다. 이는 같은 기간 평균 제주 GRDP 성장률(6.4%)을 크게 상회하는 수치다.
제주 인구유입 급증에 따른 주거 수요 증가와 외국인 직접 투자 관련 개발사업, 부동산 가격상승 등이 제주 건설업 성장의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2014~2017년 사이 제주 유입 인구의 약 70%는 삼양동과 아라동 등 신규 택지개발지구로 유입됐다.
2013~2017년 사이 외국인 직접투자는 약 55억달러에 달했는데, 이는 2008~2012년 사이 17억6000만달러의 3배를 넘는 수준이다. 이중 64.8%는 중국 자본이다.
ⓒ한국은행 제주본부.
제주 지역 건축 관련 지표. ⓒ한국은행 제주본부.

또 인구유입에 따라 주택 수요가 증가하고, 각종 개발사업 등이 추진되면서 제주 부동산 가격이 급등, 제주 건설 경기 활황기를 이끌었다. 2014년 주택매매가격기수 상승률은 1.4% 수준이었지만, 2015년 8.1%로 급등했다.

하지만, 2018년부터 제주 건설 경기가 이어지면서 제주 경제 성장도 둔화됐다.
건설경기가 둔화된 이유로는 인구순유입 둔화, 미분양주택 적체, 외국인 투자금액 감소 등이 꼽힌다.
건설업 성장률은 2011년(13.4%) 이후 2016년 25.2%로 정점을 기록했고, 2017년(11.9%) 조정기를 거쳐 2018년 -19.2%로 큰 폭의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했다.
건설업 성장률이 마이너스를 기록한 2018년 제주 GRDP 성장률은 -1.7%를 기록했는데, 이는 2005년 이후 13년만에 마이너스 성장이다.
제주 경제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서비스업의 경우 지역경제성장 측면에서 기여율은 하락했지만,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성장세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됐다. 2018년 기준 서비스업은 제주 명목 총부가가치대비 무려 73.7%를 차지하고 있다.
2011~2014년 서비스업의 제주 경제 성장기여율은 평균 70.2%를 기록했으나, 2016~2017년에는 평균 49% 수준으로 떨어졌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제주경제는 당면한 코로나19 대응에 주력해야 하지만, 서비스업의 고부가가치화와 기존 산업과 신산업의 융합 등 질적 성장을 위한 정책 준비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이어 “관광자원과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등 4차산업혁명 기술을 접목해 관광 콘텐츠를 고도화해야 한다”며 “고용 창출효과는 높으나 생산성이 낮은 도·소매업, 음식·숙박 서비스의 경우 공유서비스를 활용하는 등 신산업 기술과 연계하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관계자는 “부진이 심화되는 건설업의 경우 환경인프라를 구축하고 주거용 건물의 유지 보수 확충 등을 통해 연착륙을 유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Let's block ads! (Why?)




June 30, 2020 at 12:49PM
https://ift.tt/2NIKkAG

최근 제주 경제 성장과 침체, 건설 경기 영향이 가장 커 - 제주의소리

https://ift.tt/2ArL0ar

No comments:

Post a Comment